crossorigin="anonymous"> 애플카와 같이갈 회사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애플카와 같이갈 회사

경제,사회,테크,비즈니스

by 적새매 2021. 9. 6. 07:59

본문

728x90
반응형

LG : 전기차 종합세트

LG의 강점

LG는 애플카 사절단이 한국에 와서 만난 회사 중 하나입니다. LG는 LG에너지솔루션(배터리), LG마그나이파워트레인 & LG이노텍(자동차 부품), LG전자, LG디스플레이 등 전기차에 필요한 여러 회사를 보유했다는 점이 가장 큰 강점입니다. 애플이 LG와 협력을 하게 된다면 동시에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죠. 또한 LG전자가 최근 애플의 아이폰을 판매하기 시작하며 LG와 애플의 관계가 좋아지는 것도 주목해야 합니다.



LG의 약점

애플은 애플카에 중국 배터리 업체들이 생산하는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탑재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LG에너지솔루션은 리튬이온배터리를 주력으로 하고 있죠. 그럼에도 LG는 애플카에 최적의 파트너에 가장 가까운 후보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SK이노베이션 : 배터리 파트너

SK이노베이션의 강점

SK이노베이션 역시 애플카 사절단이 방문했던 회사입니다. SK이노베이션은 미-중 갈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애플이 한국 배터리 업체와 협력할 가능성이 높고, 그중 유력한 후보로 꼽히는 회사입니다. 특히 SK이노베이션은 미국에 배터리 생산 공장을 확대하고 있는데, 가까운 곳에 생산 기지를 두고 싶어 하는 애플에겐 좋은 선택지입니다. 또한 애플이 선호하는 파우치형 배터리를 생산하는 회사라는 점도 강점입니다.



SK이노베이션의 약점

SK이노베이션 역시 LG에너지솔루션과 마찬가지로 리튬이온배터리를 주력으로 합니다. 애플의 방향성과 살짝 결이 다른 것이죠. 또한 LG가 자동차 부품까지 협력이 전방위적으로 가능한 데 비해 SK이노베이션은 배터리만 다룬다는 것도 약점입니다.



폭스콘 : 아이폰 이어 애플카까지

폭스콘의 강점

폭스콘은 전통적으로 애플의 생산기지 역할을 하며 아이폰의 60% 이상을 생산하는 회사입니다. 폭스콘은 최근 스마트폰 생산에 이어 전기차까지 사업을 확대하고 있어 애플카를 만드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옵니다. 폭스콘은 미국에 전기차 생산 공장을 짓고 2023년부터 성과를 내겠다고 선언한 상태입니다.


폭스콘의 약점

그러나 폭스콘은 애플카를 위탁생산한다는 보도는 억측이라며 선을 그은 상태입니다. 당장 미국에 짓는 생산 공장은 미국의 전기차 업체와 협력을 위한 것같습니다. 또한 폭스콘은 전기차 분야에서 신규 업체라는 점도 약점으로 꼽힙니다.


다른 후보들은?

애플은 도요타와도 애플카 관련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구체적인 협의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과거 현대기아차와 협상이 결렬된 이력이 있는 애플이 다른 완성차 업체인 도요타와는 어떤 얘기를 나누었을지 궁금증을 자아냅니다. 다시 한번, 애플카는 전기차 업계의 뜨거운 감자로 부상했습니다. 


※ 애플에 이어 샤오미도 전기차 회사를 새로 신설하고 10조원이 넘는 투자를 진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빅테크 기업들이 들어오며 전기차 시장은 더욱 커지는 중입니다.

※ 오늘의 1분뉴스

삼성전자, 초격차 DDR5 메모리 내년 양산
삼성전자가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8단 실리콘관통전극(TSV) 기술을 처음 D램에 적용한 DDR5로 초격차를 이어갑니다. 10㎚(나노미터·10억분의 1m)급 공정과 극자외선(EUV) 기술이 적용되는 DDR5는 데이터센터 등에 활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전자는 최근 반도체 학회에서 8단 TSV 기술이 적용된 512GB(기가바이트) DDR5 메모리 기술을 공개하고, 내년 본격적인 양산에 들어간다고 밝혔습니다. 

SKT, 이커머스 시장 진출
SK텔레콤이 카카오를 중심으로 쿠팡, 네이버 등이 경쟁 중인 이커머스 시장에 뛰어들었습니다. SK텔레콤은 빅데이터 기반 문자 커머스 ‘티딜(T deal)’에서 선물하기 서비스를 추가했습니다. 이번에 추가된 서비스는 선물하기로 상품을 결제한 후 수취인의 이름과 휴대전화만 입력하면 이용할 수 있습니다.

디즈니+, 11월 한국 상륙 초읽기
디즈니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디즈니플러스’가 한국 시장에 11월 상륙합니다. 이를 위해 디즈니는 국내 유료방송시장에 배급된 콘텐츠 공급을 중단하거나 가격을 인상하는 등 출시 초읽기에 나섰습니다. 한국 OTT 시장에서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는 넷플릭스와 이를 추격하는 토종 OTT는 콘텐츠를 강화하며 대응태세에 나섰습니다.

코인플러그·리틀송뮤직, NFT 음원 선보여
블록체인 전문 기업 코인플러그가 뮤직 콘텐츠 지식재산권(IP) 개발사 리틀송뮤직과 대체 불가능 토큰(NFT)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코인플러그는 NFT 마켓 ‘메타파이’에 ‘음원’ 카테고리를 추가하고, 리틀송뮤직이 기획·제작하는 음원 소유권의 NFT 판매와 유통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또한 코인플러그는 NFT 음원 저작권 거래 시장 활성화와 음악 저작권자의 권리 향상을 위해 협력할 것이라 밝혔습니다.

루이비통, 까르푸 14년 만에 손절
프랑스 명품기업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의 베르나르 아르노 회장이 프랑스 유통기업 카르푸에 대한 투자를 14년 만에 손절로 마무리했습니다. 현지에선 ‘루이비통의 실수’라는 평가가 나왔는데요. 아르노 회장은 각종 투자와 인수합병을 성공시키면서 LVMH그룹을 세운 투자업계 거물로 꼽히지만 2007년에 카르푸에 처음 투자할 때 주가가 47유로였던 것을 고려했을 때 흔치 않은 실수로 지적됩니다. 



728x90
반응형

'경제,사회,테크,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호예수  (0) 2021.09.07
ZOOM의 미래  (0) 2021.09.06
블록체인,새로운 도약  (1) 2021.09.03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시대  (0) 2021.09.03
금리에 대해서  (0) 2021.09.02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