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사우디 국부펀드(PIF)의 넥슨 투자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가 지난 3일 일본 도쿄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우리나라 게임사 '넥슨'의 주식을 대량 매입했습니다. 넥슨 주식 약 1조600억원어치를 매입한 것인데요. PIF는 이번 투자의 목적을 ‘순수 투자’라고 밝혔죠. 이번 투자로 PIF는 약 5%의 넥슨 지분을 확보하여 넥슨의 4대 주주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중동 지역 펀드가 한국 대형 게임회사에 대규모 투자를 집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PIF는 사우디의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이끄는 펀드로, 약 600조원에 달하는 자산을 운용하고 있는데요. 최근 게임 회사들을 여럿 인수하며 글로벌 게임 업계 패권 경쟁의 다크호스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넥슨에 투자한 날, 일본 게임사 캡콤*에도 약 4,000억원을 동시 투자했으며, 블리자드, 테이크투인터렉티브*, EA 등에도 전략적 지분 투자를 진행한 바 있습니다. PIF의 최근 행보는 MS와 소니의 게임업계 M&A 행보를 의식한 것으로 보이죠.
*캡콤: ‘몬스터헌터’, ‘스트리트파이터’ 등 액션·격투게임을 주력으로 만드는 게임 개발사
**테이크투인터렉티브(Take-Two Interactive): '2K'와 '락스타 게임즈'의 모회사로 유명한 게임 제작사로, 'GTA'시리즈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사우디의 IT 대전환 야망
사우디아라비아(사우디)는 지난 2016년부터 탈(脫)석유를 추진하며 IT분야에 대대적으로 투자해왔습니다. 전세계적인 탈(脫)탄소 흐름에 맞추어서, 장기적으로 국가 경제 체질 자체를 전환하려는 것이죠. 사우디는 비석유 수출의 국내총생산(GDP) 비중을 지난 2016년 16%에서 오는 2030년까지 50%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입니다.
이와 같은 노력을 바탕으로 사우디는 작년에만 무려 5만6천명의 정보기술(IT) 분야 인재를 양성했습니다. 최근 한국 정부가 제시한 3년간 13만명의 IT인재를 육성하겠다는 목표를 뛰어넘는 수준이죠. 지난 1일에는 사우디 정부가 주최한 사우디 최초의 기술 전문 박람회 ‘LEAP 2022’가 개막했는데요. 굴지의 IT기업들을 사우디 변화의 파트너로 초청하여 메타버스, 블록체인 등 웹3.0시대에 걸맞는 기술확보를 위한 적극적인 투자를 약속했습니다.
사우디 정부는 LEAP 기간 동안 약 7조7천억 규모의 디지털 분야 투자와 1조3000억원 규모의 콘텐츠 육성 계획을 발표했는데요. 기존의 폐쇄적인 중동국가 이미지를 벗고 해외기업 유치에 나서겠다는 전략이죠.
국내 게임 업계 현황
사우디 왕세자 빈 살만은 게임 산업에 큰 관심을 나타내왔는데요. 한국 게임 기업 중에서 넥슨이 최초로 투자 대상으로 선점된 데에는 넥슨의 포트폴리오 경쟁력과 글로벌 잠재력이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넥슨은 모바일부터 PC게임까지 촘촘한 게임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습니다. 글로벌 게임 시장을 겨냥한 전략도 잠재력으로 꼽히는데요. 넥슨은 미국의 콘텐츠 회사 AGBO스튜디오*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해 38% 이상의 지분을 확보한 바 있죠.
*AGBO스튜디오: 영화 감독 루소 형제와 프로듀서 라로카가 설립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제작사.
한국 게임 업계는 3N(넥슨, 넷마블, 엔씨소프트)의 약진과 2K(크래프톤, 카카오게임즈)의 성장 가도로 요약됩니다. 넥슨이 오랜 사랑을 받은 IP와 대형 게임, 그리고 장르 다변화로 글로벌 확장 전략을 펼친다면, 넷마블은 신작 출시와 NFT, 메타버스 사업에 집중하고 있죠. 크래프톤은 신흥시장과 흥행작을 찾아서 투자를 지속 중이며, 카카오게임즈는 올해 리니지 형제를 끌어내린 ‘오딘’의 활약에 힘입어 글로벌 확장에 나설 계획입니다.
※ 게임 업계 M&A 패권 경쟁의 다크호스로 떠오른 PIF. 점점 더 과열되는 게임 업계 경쟁 속, 승자는 누가 될까요?
※ 오늘의 1분뉴스
토스, 프리 IPO 나선다
토스 운영사인 비바리퍼블리카가 프리 IPO 투자를 상반기 내 유치할 예정입니다. 프리 IPO는 회사가 향후 몇 년 이내 상장을 약속하고 일정 지분을 투자자에게 매각해 자금을 유치하는 방식의 투자입니다. 토스의 이번 프리 IPO 투자 금액은 최대 1조원 수준이 될 것으로 알려졌으며, IPO는 늦어도 2025년 안에는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클레이스왑, 암호화폐 22억원 해킹
예치 금액만 2조원이 넘는 디파이 서비스 ‘클레이스왑’이 해킹 공격을 당해 22억원어치의 가상자산이 사라지는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클레이스왑은 카카오의 자회사인 그라운드X가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입니다. 외부 네트워크망 공격으로 사용자의 정상적인 SDK 파일 요청이 카카오 서버가 아닌 해커 서버로 연결돼 악성코드가 다운로드된 게 원인입니다.
'갤럭시S22' 시리즈, 오는 10일 공개
삼성전자의 차기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S22' 시리즈가 이번 주 베일을 벗습니다. 삼성전자는 10일 자정 '삼성 갤럭시 언팩 2022' 행사를 온라인으로 개최하고, 신제품인 '갤럭시S22' 시리즈를 공개합니다. 기존 스마트폰 제품과의 차별성에 업계 안팎의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갤럭시S22' 시리즈 비장의 무기로는 카메라 성능이 꼽히고 있습니다.
오포, 폴더블폰 내구성 테스트 공개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 오포가 최근 출시한 자사 폴더블폰 '파인드N' 내구성 실험 영상을 공개했습니다. 주요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잇따라 폴더블폰을 출시하고 있지만 내구성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자사 폴더블폰은 튼튼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 외에도 자체 특허 기반 힌지 기술을 사용해 가운데 주름을 크게 개선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습니다.
애플, 40만원대 5G 아이폰 출시
애플이 40만~50만원대 중저가 5G 스마트폰 신제품 ‘아이폰SE 3세대’를 오는 4월 출시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도 비슷한 시기, 비슷한 가격대의 갤럭시A 신제품으로 맞대결을 준비합니다. 전 세계 5G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양사의 5G 스마트폰 경쟁이 고급형 제품군에서 중저가 제품군으로 확대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FIDO(Fast Identity Online) (0) | 2022.05.09 |
---|---|
시멘트 대란 (0) | 2022.04.05 |
OTT왕좌 추락 (0) | 2022.01.26 |
디지털 화폐 개혁 (0) | 2022.01.25 |
도전하는 NFT (0) | 2022.01.25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