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물류업계 최신 트렌드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물류업계 최신 트렌드

경제,사회,테크,비즈니스

by 적새매 2021. 7. 14. 08:58

본문

728x90
반응형

1. 코웰패션, 로젠택배 인수



아디다스, 리복, 캘빈클라인, 푸마 등 유명 스포츠 패션 브랜드의 한국 생산, 유통을 담당하는 코웰패션이 로젠택배를 인수했습니다. 코웰패션은 신설 자회사 씨에프인베스트먼트를 통해 로젠택배의 지분 100%를 인수하며 로젠택배를 계열사로 두게 되었는데요. 코웰패션은 그동안 패션과 커머스 업계에서 쌓아온 노하우가 강점입니다. 로젠택배는 자체적인 수익 모델을 잘 구축한 내실있는 택배사로, 좋은 네트워크와 IT시스템을 갖추고 있죠. 업계에서는 두 회사가 만나 폭발적인 시너지를 낼 것으로 예상합니다. 로젠택배가 코웰패션의 자금력을 만나 대형 택배사와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될 것이며, 코웰패션은 생산부터 유통과 물류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사업 구조를 갖추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2. 카카오모빌리티 with 한진택배



카카오모빌리티와 한진택배는 MOU를 맺고 카카오T 플랫폼 기반의 개인 택배 서비스를 시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카카오T에서 택시를 부르듯 택배 기사를 호출해 개인-개인 간 택배를 서비스하겠다는 것인데요. 일반 개인 택배보다 저렴한 가격에, 간편하게 택배 기사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해 편의성까지 챙기겠다는 전략입니다. 한진택배는 국내 최초로 개인 택배 브랜드를 런칭한 택배사로, 카카오T라는 플랫폼을 만나 개인 택배 분야에서 더욱 성장하고자 하며, 카카오T는 사람뿐만 아니라 사물이 이동까지 아우르는 모빌리티 회사로 거듭나고자 합니다. 두 회사는 이후 자율주행 택배차, 주차장을 이용한 무인 로봇 배송 등 새로운 비즈니스 발굴에도 힘을 쏟겠다고 밝혔습니다.



3. 점점 중요해지는 라스트마일!

쿠팡과 네이버, 신세계 같은 커머스 업체들은 빠른 배송을 위해 전국에 물류센터를 짓고 있는데요. 이들은 체계적인 풀필먼트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들이 신경 쓰는 것은 배송이 시작되는 단계라면, 우리 집 문 앞까지 상품이 오는 최종 단계가 바로 "라스트마일"입니다. 새벽배송, 익일배송을 넘어 1~2시간 만에 오는 배송까지 등장하는 요즘, 라스트마일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죠.


그동안 음식 배달을 중점으로 했던 배송 플랫폼 메쉬코리아는 최근 라스트마일 물류에도 진출하고 있습니다. 배달 플랫폼으로써 메쉬코리아는 이륜차, 자전거 등 여러 모빌리티와 AI, 빅데이터 솔루션을 도입했는데요. 이는 물류에도 그대로 옮겨올 수 있습니다. 메쉬코리아는 도심 곳곳에 MFC(Micro Fulfillment Center)라는 소규모 물류 거점을 구축하고 있는데요. MFC가 여러 곳 세워지고 AI 물류 솔루션이 도입되면 단순히 빠른 배송을 넘어 원하는 시간에 배송을 받는 '정시 배송' 서비스까지 나올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또한 메쉬코리아는 현대차 같은 모빌리티 회사들로부터 투자를 받으며 초소형 전기차, 전기 바이트, 드론 등 미래 모빌리티 분야와도 적극적으로 협력 중입니다. 이렇듯 점점 더 빨라지는 물류 트렌드에서, 라스트마일 분야에서도 여러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 커머스(네이버, 신세계, 코웰패션 )는 물론 모빌리티(카카오모빌리티 등) 업체들까지 물류 업계와 협업을 강화하는 추세입니다. 더욱 빠른 배송을 위한 물류 업계의 발전, 기대됩니다.


오늘의 1분뉴스

내년 최저임금 9,160원으로 가닥
내년도 시간당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5.1% 오른 9,16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그러나 노동계는 정부의 최저임금 1만 원 공약이 지켜지지 않았다며, 경영계는 영세기업들의 임금 지급 능력을 초과한 인상이라며 반발했습니다. 최저임금위원회는 결정된 최저임금안을 고용노동부에 제출하게 되며, 이 안이 통과될 경우 내년 1월 1일부터 9,160원의 최저임금이 의무가 됩니다.

 인터파크의 매각 시도
1세대 이커머스 플랫폼 인터파크가 대표 지분 28%를 매각하기 위해 인수 후보를 물색하고 있습니다. 현재 인터파크는 코로나 19 종식에 대한 기대감과 여행, 공연 수요가 돌아올 것에 대한 기대감으로 올 초보다 주가가 올라 시가총액 4,50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매각 후보로는 네이버와 카카오를 포함해 여행이나 공연 사업에 진출을 고려하고 있는 플랫폼들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DH, 요기요 매각 시한 연장 요청
배달 앱 요기요 매각을 추진 중인 딜리버리히어로(DH)가 공정거래위원회에 매각 시한 연장을 신청했습니다. 공정위가 정한 요기요 매각 시점은 내달 3일까지이며, 공정위는 다음 주나 늦어도 다다음 주까지 매각 시한 연장 승인 여부를 DH 측에 통보할 예정입니다. DH 측에선 요기요의 몸값을 2조 원대로 책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인수전이 흥행 실패로 난항하면서 요기요의 몸값도 낮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EUV 두고 격화하는 미중 반도체 갈등
미국 정부는 최근 중국 반도체 굴기를 막기 위한 전방위적인 압박을 시작했습니다.  미국은 대만 TSMC의 중국 공장 증설 계획에 제동을 거는 것을 넘어 중국에 대한 네덜란드 ASML의 극자외선(EUV) 노광 장비 수출을 막고 있는데요. 중국 정부는 중국 반도체 산업에 대한 미국의 견제가 글로벌 반도체 산업 망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바이트댄스, 정부와 면담 후 해외상장 보류
틱톡의 모회사인 바이트댄스가 중국 당국과 면담 후 해외 상장을 연기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중국 정부는 바이트댄스의 데이터 보안 규정 준수에 대해 우려했으며, 바이트댄스는 정부의 규제를 피하고자 해외 상장을 연기한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정부는 해외 상장을 강행한 자국의 기업 디디추싱에 대해 앱 마켓에서 일괄 삭제를 명령하는 등 강력한 규제를 강행한 이력이 있는데요. 중국 정부는 현재 자국의 IT기업이 해외에 상장하려면 반드시 사전 심사를 거치도록 하는 사실상의 '해외상장 허가제'를 도입하려고 준비 중입니다.




728x90
반응형

'경제,사회,테크,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 에너지 수소탱크  (0) 2021.07.15
치솟는 물가  (0) 2021.07.15
디지털화폐 사업  (2) 2021.07.14
우주여행  (0) 2021.07.13
3nm반도체 핵심 GAA  (0) 2021.07.13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