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백악관의 OPEC 기름값 잡기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백악관의 OPEC 기름값 잡기

경제,사회,테크,비즈니스

by 적새매 2021. 8. 13. 07:59

본문

728x90
반응형

이례적으로 증산 요구한 백악관

미국 백악관이 국제 유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석유수출기구플러스(OPEC+)에 추가적인 원유 증산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백악관은 현지 시각으로 11일 성명서를 내고 "고유가가 세계 경제 회복에 악영향을 미친다"면서 "최근 OPEC+가 발표한 증산 계획이 경제가 회복하는 상황에서 충분치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OPEC+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 등 중동 주요 산유국 중심의 협의체인 OPEC에 러시아까지 포함된 협의체입니다. 



최근 경기가 빠르게 회복하며 원유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면서 원유가격이 크게 오르자, OPEC+는 7월 중순에 "올 8월부터 내년 9월까지 매일 40만배럴씩 증산하겠다"고 증산 계획을 밝힌 바 있습니다. 하지만 백악관은 이런 OPEC+의 증산 계획이 현재의 고유가 상황을 완화하기에 부족하다는 입장입니다. 백악관이 산유국에 민감한 증산 문제를 직접적으로 꺼내 든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인데요. 그만큼 현재 고유가 상황에 대한 바이든 행정부의 우려가 크다는 것을 방증한다는 분석입니다.


고물가에 기름값부터 잡자!

백악관이 OPEC+에 증산을 요구한 것은 경기 회복 국면에서 물가 상승률이 지나치게 높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물가수준을 보여주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올 7월 전년 대비 5.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이는 올 6월과 비슷한 수준으로 상승 속도는 다소 둔화됐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지만, 이미 소비자물가가 2008년 이후 13년 내 최고 수준을 보이고 있는 만큼 물가 상승은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최근의 물가 상승은 소비 측면의 영향보다는 공급 측면의 영향이 큰 편입니다. 코로나 확산 이후 전 세계 공급망이 타격을 받고, 급격한 경기 충격에 원자재 생산국들과 소재, 부품 기업들은 줄줄이 감산에 나섰는데요. 하지만 예상보다 경기가 빠르게 회복되고 수요가 급속하게 확대되면서 상품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 소재, 부품, 장비 등의 공급이 부족해지기 시작했습니다. 기업들은 경기 회복에 시간이 꽤 걸릴 줄 알고 생산량을 줄였지만, 생각보다 빠르게 경기가 회복되면서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게 된 것이죠. 

 


핵심 원자재 중 하나인 원유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코로나 사태 직후 원유 선물 가격은 한때 마이너스(-)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원유를 사주면 오히려 돈을 받는 셈이죠. 원유 생산량은 그대로인데, 코로나로 에너지 수요가 급감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가격이 폭락하게 된 것입니다. 하지만 경기가 회복 국면에 진입하면서 원유 수요가 빠르게 커졌고, 원유 가격도 올해 들어서만 50% 가까이 상승하면서 2018년 10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OPEC은 코로나 이전까지 저유가가 장기간 지속되며 석유 생산량을 꾸준히 줄여왔는데, 최근 가격이 급등하자 비로소 감산을 완화(증산)하기로 합의한 것입니다. 


원유는 특히 모든 산업생산의 기초가 되는데요. 석유는 에너지원으로도 쓰이지만, 플라스틱, 섬유, 아스팔트 등 다양한 가공품을 만드는 데 활용되는 만큼, 원유 가격의 상승은 물가 상승을 부추길 수밖에 없습니다. 바이든 대통령 역시 미국 내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는 것은 부담이 될 수밖에 없기에, 고유가 문제를 타개해야겠다는 판단을 내린 것이겠죠. 물론 OPEC+에 이런 요구를 하고 나선 것은 미국 내 셰일 기업들이 셰일 오일 생산을 늘리지 않고 있어서이기도 합니다.



인플레 전쟁에 나서는 바이든

바이든 대통령은 대외적으로는 원유 증산을 요구하고 나선 데 이어, 대내적으로는 주유소의 휘발유 가격 문제를 지적하며 '인플레이션과의 전쟁'에 나서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그동안 미국에서도 원유 가격이 내려도 휘발유 가격은 그대로인 '비대칭적 현상'이 빈번했는데요. 백악관은 미국의 연방거래위원회에 휘발유 시장의 유통구조에 대한 조사를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이렇듯 바이든 정부는 원유를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주요 공격 타깃으로 삼은 듯 보이는데요. 앞으로 미국 정부와 FED가 물가 상승에 어떻게 대처할 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 최근 미국의 물가 상승세가 다소 둔화된 것은 지난 2분기 물가 상승을 주도했던 중고차, 항공운임 등의 가격이 내려갔기 때문입니다. 올해 들어 차량용 반도체 부족 현상이 심해지면서 중고차 가격이 크게 올랐다가 다시 정상 수준을 회복한 것이죠. 하지만 최근 들어 주거비와 임금 상승 폭이 커지면서 물가 상승이 지속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 오늘의 1분뉴스

갤럭시 언팩 2021, 삼성 폴더블폰의 대중화
삼성 갤럭시 언팩 2021행사에서 삼성전자의 3세대 폴더블 스마트폰이 공개되었습니다. 삼성전자는 기술적인 발전과 S펜 지원 등 성능을 대폭 향상했음에도 100만 원대로 가격을 내리며 폴더블폰 대중화 전략을 펼칠 예정입니다. 업계에서는 향후 폴더블폰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텐데, 삼성전자가 점유율 1위 자리를 탄탄하게 지킬 것으로 예상합니다. 한편 샤오미 등 중국 업체들이 폴더블폰을 출시하긴 했지만, 기술력이 아직은 부족해 소비자들의 원성을 사고 있습니다.

한화시스템, 미국 우주 인터넷기업에 3,450억 원 투자
한화시스템이 세계적인 ‘우주인터넷’ 기업 원웹(OneWeb)에 3억 달러(약 3450억원)를 투자합니다. 한화시스템은 원웹과 투자 계약을 체결하고 영국 정부, 세계 3대 이동통신사 바르티(Bharti Global), 세계 3대 통신위성 기업 유텔샛(Eutelsat), 일본 소프트뱅크(SoftBank) 등과 함께 이사회에 합류한다고 밝혔습니다. 원웹이 보유한 우주인터넷 기술은 높은 고도에서 신호를 주고받아야 하는 에어택시, 끊김 없는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자율주행차 등 미래 기술에 꼭 필요한 기술입니다.

게임업계 ‘3N’ 2분기 어닝쇼크
국내 게임 업계 대표 주자인 ‘3N(넥슨, 엔씨소프트, 넷마블)’이 올 2분기에 실적을 끌어올리지 못했습니다. 넷마블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동기 대비 80%가량 떨어졌으며, 엔씨는 46%, 넥슨도 42% 떨어졌습니다. 이 기간 실적에 반영할 만한 신작 매출이 없었거나, 있어도 크게 흥행을 못 한 것이 원인입니다. 카카오게임즈와 크래프톤이 3N의 아성을 턱밑까지 따라잡은 가운데, 3사는 하반기에 대작 출시로 분위기 반전을 노리겠다는 전략입니다.

 TSMC, 내년부터 3나노 반도체 양산
세계 1위 파운드리 업체 TSMC가 예정보다 1년 이른 내년 7월에 3나노 반도체를 양산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TSMC는 현재 삼성전자와 동일하게 5나노 공정의 반도체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TSMC가 내년 3나노 반도체를 생산에 애플의 제품에 탑재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TSMC가 예정대로 3나노 반도체를 생산하는 경우, 파운드리 업계에서 1위 자리를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가상화폐 과세 법안 상원 넘었다
미국 상원이 인프라 법을 통과시키며 가상화폐 관련 과세 법안이 점점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법안은 과세 범위를 두고 수정안이 나오는 등 갑론을박이 있었지만, 결국은 원안이 상원을 통과했습니다. 법안에는 가상화폐 관련 사업자들을 브로커로 규정해 과세 대상으로 정의하며, 1만 달러 이상 거래 시 국세청에 신고를 의무화하는 규정이 담겼습니다. 그러나 개인사업자에게는 과세하지 않을 것이라는 소식이 알려지며 비트코인 가격은 오히려 상승하기도 했으며, 이제는 하원의 법안 통과를 남겨두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경제,사회,테크,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숏폼 선두주자 틱톡  (0) 2021.08.17
폰지사기  (0) 2021.08.17
주가급락 모더나  (0) 2021.08.12
핀테크 서비스 디지털 지갑  (0) 2021.08.12
스마트폰 삼국지  (0) 2021.08.11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